본문 바로가기

리뷰/Book 리뷰

그들이 말하지 않은 23가지 - Thing4. 인터넷보다 세탁기가 세상을 더 많이 바꿨다.

 


Thing4. 인터넷보다 세탁기가 세상을 더 많이 바꿨다.

- 최근의 전자 통신 기술상의 발전은 상대적인 관점에서 볼 때 19세기 후반의 전보만큼 혁명적이라고 할 수 없다.

1. 라틴 아메리카에서는 가정부가 없는 사람이 없다.
- 선진국에서는 가사 노동자로 일하는 사람의 비율이 현격히 낮은 주된 이유는 노동력이 상대적으로 더 비싸기 때문이다.
- 개발도상국에서는 여전히 가사 노동자의 임금이 저렴한 탓에 소득 수준이 중하위권에 속하는 사람들도 가정부를 둘수 있는 것이다.
2. 세탁기의 등장
- 전기, 수도, 가스와 더불어 가전제품의 등장으로 가사 노동 부담이 줄어들면서 여성들의 삶이 완전히 변모했고, 그로 인해 남성들의 삶도 크게 달라졌다. 가전제품은 훨씬 많은 여성들이 노동 시장에 참여 할 수 있게 만들었다.
- 가사 노동을 줄이는 설비와 가전제품이 나오지 않았더라면 사회나 가정에서 여성의 역할은 지금처럼 극적일 정도로 변하지는 못했을 것이다.
3. 인터넷, 세탁기에 지다.
- 새로운 기술은 흔히 개발되고 나서 수십 년이 지나야 최대한으로 사용되고, 영행력도 그때가 가장 커진다. 하지만 즉각적인 영향만을 놓고 보더라도 인터넷이 많은 사람들이 생각하듯이 과연 그렇게 혁명적인 기술인지 회의적이다.
4. 인터넷, 전보에게도 지다.
- 우리는 단지 지금 이 순간 우리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이유만으로 인터넷의 영향력을 지나치게 과대평가하고 있다. 인간은 본래 가장 최신의 기술이자 가장 눈에 띄는 기술에 현혹되는 경향이 있다.
5. 변화를 큰 그림 안에서 이해하기
- 많은 나라들이 '탈산업화 사회'의 시대가 왔다고 철석같이 믿고 제조업을 홀대하여 자국 경제를 약화시켰다.
- 세계화의 정도(혹은 각국의 개방 정도)를 결정하는 것은 정치이지 기술이 아니다. 그러나 가장 최근의 기술 혁명에 사로잡혀 시각이 왜곡될 경우에는 이런 사실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한 채 결국 잘못된 정책을 펴게 되는 것이다.
- 기술의 흐름을 이해하는 것은 개별 국가뿐 아니라 국제적으로 경제 정책을 올바르게 입안하는 데 대단히 중요하고, 개인 차원에서는 직업 선택 등을 제대로 하기 위해서도 중요하다. 그런데 최근의 것에만 사로잡혀 이제는 보편화된 것들을 저평가할 경우 과거의 사례에서도 볼 수 있듯이 여러가지 잘못된 방향으로 나아갈 위험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