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hink

아이폰 as 정책, 애플 국정감사 이야기

 

 아이폰이 돌풍을 일으키고 있다. 아니 일으켰다고 해야하나... 나도 아이폰 유저의 한명으로써 이런 일들이 터지는게 달갑지 만은 않다. 애플의 as 문제는 하루이틀 문제가 아니다. kt에서 이번에 애플로 이관된 as 때문에 많은 불만이 제기되고 있고 소송되 제기 되었다.


 무엇이 문제인가. 어제 친구가 부산 가야동에 있는 as 센터를 방문했다. 시간이 그렇게 많이 걸리지도 않았고. 쇼폰캐어라는 보험에 가입되어 있어서 돈이 그렇게 많이 들지도 않았다. 그런데 많은 사람들이 불만을 제기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애플은 고장난 폰 대신에 리퍼 제품으로 교환해 준다. 리퍼 제품은 새 제품이 아니다. 결론은 간단하다. 사용한지 어느정도 된 사용자라면 오히려 반기는 정책이 될 수도 있지만, 구입한지 얼마 되지 않은 사용자라면 입장이 달라진다. 휴대폰 자체의 결함인데 새폰대신 리퍼폰을 받아야 하니. 당연한 불만제기이다. 그리고 이번에 as가 이관되면서 홍보가 많이 되지 않아. 센터를 찾는데도 어려움이 있고 숫자도 톡없이 부족하다.

아이폰 as 센터 보기http://azdream.tistory.com/172

 그리고 갈등은 중국에 아이폰이 출시되면서 더 심해졌다. 중국과의 다른 정책으로 문제가 되었다.
"중국과 다른 2가지는 첫째, 중국 법규가 한국과 다른 것이고, 둘째, 중국 내에는 애플이 운영하는 판매점이 따로 있기 때문"이라면서 "한국에도 애플 판매점이 따로 생기면 그에 맞게 정책을 조정할 의지가 있다" 이것이 애플 본사 아이폰 서비스 부문의 파렐 파하우디 시니어 디렉터가 밝힌 이유이다.

 국내에선 아이폰을 KT를 통해서만 판매하기 때문에 미국이나 중국처럼 애플이 직접 판매하는 경우와 동일한 AS 정책을 적용하기 어렵다. 그리고 중국 소비자 보호 관련 법규가 강제 조항인 반면 한국에선 임의 조항이어서 반드시 지켜야 할 의무가 없는 점도 문제가 되었다. 결국 우리 국회의원들이 소비자를 위해서 법을 개정해야만 하는데, 애플이라는 외국기업때문에 우리기업 모두에게도 부담을 주는 법을 개정할 마음이 있는것인지 묻고싶다.
과연 기업을 뒤로하고 소비자를 위한 법을 만들어 줄지도 의문이다. 우리나라 소비자를 원한다면 소비자를 보호하는 법부터 만들어 놓고, 그 법이 지켜지지 않았을때, 국정감사에서 불러야 할것이다. 이번 애플 국감 증인 채택은 결국은 누워서 침뱉기 꼴이 되어버렸다.

인터넷 검색을 해보면 알겠지만 우선 애플의 as는 분명 고칠 점이 많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소비자를 위한 법을 개정하지 않고서, 강제조항을 만들지 않고 애플에게 책임을 전가 하는것은 무언가 아이러니해 보인다. 국회의원들이 강제조항만 개정해 준다면 이런 문제는 좀 줄어 들지 않을까.

사진출처(위에서 부터 차례대로)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277&aid=0002390650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11&aid=0002103261



많은 분들이 이 글을 읽으실 수 있게
View on 클릭 해주세요^^

'Think'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직자 부정부패, 정부인사 문제점  (1) 2011.01.27
2010년, 도전하지 않으면 젊음이 아니다.  (2) 2010.12.04
북한 연평도 포격사건  (0) 2010.11.24
천안함 논란  (0) 2010.11.18
국가인원위원회  (0) 2010.11.15
체벌금지 전면적 실시  (1) 2010.11.15
헌법 개헌논의  (0) 2010.11.09
간통죄 존폐여부  (2) 2010.11.09
영화, 드라마, MP3 돈 주고 다운 받기도 힘들어??  (0) 2010.11.05
공정한 사회  (0) 2010.10.24